도시 양봉가 김씨의 하루: 빌딩 숲 속에서 꿀벌과 함께 살아가는 사람
벌이 사라진 도시에서 누군가는 벌을 지키고 있다도시는 점점 더 높아지고, 빠르게 돌아간다.콘크리트로 덮인 빌딩 사이, 사람들은 꽃이 피는지도, 새가 우는지도 모른 채 바쁘게 걷는다.그런 도시의 중심 한복판에서, 작은 생명을 지키는 일을 하는 사람들이 있다.바로 도시 양봉가다.양봉은 보통 농촌이나 산속에서 이뤄진다고 생각하지만,최근 몇 년 사이 도시의 옥상이나 공원, 폐교, 공공기관의 유휴 공간을 활용한 ‘도시 양봉’이 늘어나고 있다.꿀을 얻는 목적을 넘어서, 생태계 보존, 도시 생물 다양성 회복, 환경교육이라는 더 큰 의미를 가진 직업으로 자리잡는 중이다.김재훈(가명) 씨는 서울시 성동구에 위치한 구청 건물 옥상에서 도시 양봉을 시작한 지 5년째인 40대 중반의 남성이다.처음엔 단순한 취미였지만, 지금은..
수목장 관리인 박씨의 하루: 나무 아래 잠든 이들을 돌보는 사람
조용한 숲, 그곳엔 매일 삶과 죽음이 함께한다사람은 결국 흙으로 돌아간다.그리고 그 흙 위에 자라는 한 그루의 나무가,이제는 사람의 마지막 안식처가 되기도 한다.수목장은 말 그대로 ‘나무 아래에 고인을 모시는 묘역’이다.묘지 대신 숲을 선택하는 이들이 늘어나며,최근 몇 년 사이 환경적 가치와 생명 존중의 의미로 주목받는 장례 방식이 되었다.하지만 그런 자연장지를 매일 관리하고, 비석 없는 묘역을 정비하며, 고인을 돌보는 이들이 있다는 사실은 잘 알려져 있지 않다.박영호(가명) 씨는 충청 북부의 한 공공 수목장지에서 6년째 관리인으로 근무 중인 60대 중반의 남성이다.그는 매일 아침, 나무와 함께 잠든 이들의 묘역 확인, 헌화 정리, 조경 손질, 유가족 안내, 자연 훼손 방지 등의 업무를 맡는다.“비석이 ..
분리수거장 관리인 이씨의 기록: 뒤섞인 쓰레기 속 질서를 세우다
사람들이 버린 것들을 다시 세우는 사람아파트 단지에서 분리수거장은 하루 중 가장 무질서한 공간이 된다.누군가는 재활용과 쓰레기를 구분하지 않고 버리고,누군가는 야심한 시각에 몰래 음식물이나 가구 조각을 섞어 놓고 간다.아침이면 박스, 페트병, 종이, 비닐, 쓰레기가 뒤엉켜 ‘환경’이라는 단어와는 거리가 먼 풍경이 펼쳐진다.하지만 누군가는 그 혼란을 정리하고, 뒤섞인 물건들 속에서 다시 질서를 세운다.이영복(가명) 씨는 경기 남부의 한 1,000세대 규모 아파트 단지에서 분리수거장 관리인으로 7년째 근무 중인 68세 남성이다.매일 아침 6시부터 오후 3시까지, 그는 단지 내 3곳의 분리수거장을 돌며 재활용품 분류, 불법 투기 단속, 적재 정리, 민원 대응을 맡는다.그는 말한다.“환경이 지켜지는 게 아니라,..
지하철 선로 보수원 박씨의 하루: 전동차 멈춘 밤에야 시작되는 일
모든 전동차가 멈추는 순간, 누군가의 일이 시작된다서울 지하철은 하루 평균 약 800만 명이 이용한다.수많은 사람들이 아침과 저녁, 낮과 밤을 가리지 않고 이동하지만, 그들이 지나가는 선로 위에 매일 밤 누군가가 엎드려 있는 일은 거의 알려지지 않았다.전동차가 모두 운행을 마친 후, 지하철 선로 보수원들의 하루가 시작된다.박경수(가명) 씨는 서울 지하철 5호선 유지보수팀에서 15년째 일하고 있는 선로 보수원이다.그는 매일 밤 11시 40분부터 새벽 4시 반까지, 열차가 완전히 멈춘 시간을 이용해 레일, 침목, 체결장치, 전선 등을 정비한다.그는 말한다.“우리가 철로에 들어가면, 시간은 곧 생명이에요.딱 새벽 4시 반까지만 작업하고, 그 전엔 다 나와야 해요.안 그러면 열차가 그대로 들어옵니다.”오늘은 박..